작명에 사용하는 한자의 획수가 사전에 나오는 획수와 다른 이유
작명에 사용하는 획수는 한자사전에 사용하는 획수와 같은 글자도 있지만 획수가 다른 한자도 많이 있다.
그 이유는 각 한자의 부수 계산이 틀리기 때문이다.
즉, 한자 부수의 필획을 원획으로 환산하여 계산한다.
다음은 필획과 원획이 서로 다른 부수이다.
[성명학의 바른 획수로 계산되는 부수]
부수명 | 필획 | 필획수 | 원획 | 작명획수 |
삼수변 | 氵 | 3획 | 水 | 4획 |
심방변 | 忄 | 3획 | 心 | 4획 |
좌방변 | 扌 | 3획 | 手 | 4획 |
육달월 | 月 | 4획 | 肉 | 6획 |
초두밑 | 艹 | 4획 | 艸 | 6획 |
책받침 | 辶 | 4획 | 辵 | 7획 |
그물망 | 罒 | 5획 | 网 | 6획 |
개사슴록변 | 犭 | 3획 | 犬 | 4획 |
임금왕변 | 王 | 4획 | 玉 | 5획 |
보일시변 | 礻 | 4획 | 示 | 5획 |
옷의변 | 衤 | 5획 | 衣 | 6획 |
우부방 | ⻏(右) | 3획 | 邑 | 7획 |
좌부방 | 阝(左) | 3획 | 阜 | 8획 |
늙을로밑 | 耂 | 4획 | 老 | 6획 |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예를 들어 본다
예 1) 강 강[江] 한자의 획수는 원래 6획이다. 한자사전에도 6획으로 표기 된다.
그러나 작명상에는 부수획수를 (氵) 3획으로 계산하지 않고 원획인 삼수변(水) 4획으로 계산하여 총 7획이 된다.
따라서 작명에는 7획으로 계산한다.
물깊을 현[泫] 한자도 마찬가리로 원래 8획에서 작명에서는 9획으로 계산한다.
예 2) 옥돌 현[玹] 한자의 획수는 원래 8획이다. 한자사전에도 8획으로 표기된다.
그러나 작명상에는 부수획수 (王) 4획으로 계산하지 않고 원부수인 임금왕변(玉) 5획으로 계산하여 총 9획이 된다.
따라서 작명에는 9획으로 계산한다.
※ 나머지 한자들의 부수도 이와 같이 계산하면 되니 참조 바란다.
기름 유 油 한자사전 8획 -> 작명상 9획
지초 지 芝 한자사전 8획 -> 작명상 10획
뜻 정 情 한자사전11획 -> 작명상 12획
'성명학이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81 수리 (0) | 2019.01.15 |
---|---|
올바른 작명을 할려면 1 (0) | 2017.01.03 |
소리오행의 허구성 3 (0) | 2017.01.03 |
소리오행의 허구성 2. (0) | 2017.01.03 |
소리오행의 허구성 1 (0) | 2017.01.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