명리학이론 26

십성의 심리

십성의 심리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해 표로 정리하였다. 십성 긍정적 부정적 비견 독립심 자만심이 강하고 우월감이 있다. 겁재 승부욕 이기기 위해 수단과 방법을 가리지 않는다. 식신 표현력 남의 말의 듣지 않고 내 것만 주장한다. 상관 호기심 지나친 호기심으로 남에게 피해를 준다. 편재 호방함 큰 것만 좋아하므로 돈을 낭비한다. 정재 현실감각 자기 것만 챙기는 이기적인 사람이다. 편관 인내력 스트레스가 지나쳐 우울증이 온다. 정관 책임감 융통성이 결려 되어 원리원칙만 따진다. 편인 상상력 현실감각이 떨어지고 눈치만 살핀다. 정인 포용력 남에게 싫은 소리를 못해 속병을 얻는다.

명리학이론 2022.01.10

천을귀인

천을귀인 천을귀인은 천우신조의 복으로서 하늘이 도와주는 길신이다. 내가 어려울 때 도우니 천우만마가 부럽지 않다. 천을 귀인은 다음과 같이 구성된다. 일간 甲戊庚 乙己 丙丁 辛 壬癸 천을귀인 丑未 申子 亥酉 寅午 巳卯 가령 일간이 甲木(갑목)일때 사주의 지지에 축(丑)이나 미(未)가 있다면 그 글자는 천을귀인이 된다. 사례) 時 日 月 年 辛 甲 丙 己 未 午 寅 丑 2009년 양력 2월 18일 미시생 사주로 일간이 갑목(甲木)인데 년지와 시지에 丑土와 未土가 있다. 이는 천을귀인이 된다. 재성이 천을귀인이 되니 돈에 행운이 있고 처복이 좋다. 천을귀인 작용력 천을귀인이 사주내 있으면 각종 액운을 제거한다. 천을귀인이 비견이면 형제, 자매와 우애가 깊고 서로 유정하다. 또 동료나 친구들의 협력이 좋다. ..

명리학이론 2018.12.05

각 십성의 생극제화의 법칙

3. 각 십성의 생극제화의 법칙 각 십성의 생극제화의 이치를 설명한다. 어떤 십성이 생을 하고 생을 받으며, 극을 하고 극을 받는 관계를 잘 알아야 사주를 빠르게 분석할 수 있다. 1) 비겁의 생극제화비겁을 중심으로 십성과의 관계를 관찰한다.비겁은 인수의 생을 받는다. 비겁은 식상을 생한다. 비겁은 관성의 극을 받는다. 비겁은 재성을 극한다. ⑴ 비견비견은 편인에게 100% 생을 받는다. 비견은 인수에게 50% 생을 받는다. 비견은 식신을 100% 생한다. 비견은 상관을 50% 생한다. 비견은 편재를 100% 극한다. 비견은 정재를 50% 극한다.비견은 편관에게 100% 극을 받는다. 비견은 정관에게 50% 극을 받는다. ⑵ 겁재겁재는 편인에게 50% 생을 받는다. 겁재는 인수에게 100% 생을 받는다...

명리학이론 2017.01.21

십성의 상생 상극 법칙

제6장 십성의 상생과 상극법칙 1. 십성의 상생(相生)법칙 ∎比生食(我生食) : 나와 비겁은 식상을 생한다. ∎食生財 : 식상은 재성을 생한다. ∎財生官 : 재성은 관성을 생한다. ∎官生印 : 관성은 인성을 생한다. ∎印生比(印生我) : 인성은 나와 비겁을 생한다. 2. 십성의 상극(相剋)법칙 ∎比剋財(我剋財) : 나와 비겁은 재성을 극한다. ∎財剋印 : 재성은 인성을 극한다. ∎印剋食 : 인성은 식상을 극한다. ∎食剋官 : 식상은 관성을 극한다. ∎官剋比(官剋我) : 관성은 나와 비겁을 극한다.

명리학이론 2017.01.21

십성 찾는 법의 예

4. 십성 찾는 법의 예 일간을 기준으로 천간 십신과 지지 십신을 찾는다. 時日月年천간癸(‐ 水)辛(‐ 金)癸(‐ 水)甲(+木)지지巳(+火)未(‐ 土)酉(‐ 金)午(‐ 火)천간십성식신我식신 정재지지십성정관편인비견편관 년간 甲木은 일간의 극을 받고 음양이 다르므로 정재가 된다. 월간과 시간 癸水는 일간의 생을 받고 음양이 같으므로 식신이 된다.년지 午火는 일간을 극하고 음양이 같으므로 편관이 된다.월지 酉金은 일간과 같은 오행이며 음양이 같으므로 비견이 된다.일지 未土는 일간을 생하고 음양이 같으므로 편인이 된다.시지 巳火는 일간을 극하고 음양이 다르므로 정관이 된다. 時日月年천간乙(‐ 木)壬(+水)己(‐ 土)戊(+土)지지巳(+火)申(+金)未(‐ 土)寅(+木)천간십성상관我정관 편관지지십성편재편인정관식신 년..

명리학이론 2017.01.20

지지의 십성

3. 지지 십성(十星) 구성법 일간을 기준으로 지지의 십성(十星)을 찾는다. 천간의 십신을 찾는 법과 동일하다. ⑴ 지지의 비견(比肩) 일간과 오행이 같으면서 음양이 같은 것을 비견이라 한다.甲⇨寅 乙⇨卯 丙⇨巳 丁⇨午 戊⇨辰戌 己⇨丑未 庚⇨申 辛⇨酉 壬⇨亥 癸⇨子 ⑵지지의 겁재(刧財) 일간과 오행은 같으나 음양이 다른 것을 겁재라 한다.甲⇨卯 乙⇨寅 丙⇨午 丁⇨巳 戊⇨丑未 己⇨辰戌 庚⇨酉 辛⇨申 壬⇨子 癸⇨亥 ⑶지지의 식신(食神) 일간이 생하는 오행이면서 음양이 같은 것을 식신이라 한다.甲⇨巳 乙⇨午 丙⇨辰戌 丁⇨丑未 戊⇨申 己⇨酉 庚⇨亥 辛⇨子 壬⇨寅 癸⇨卯 ⑷지지의 상관(傷官) 일간이 생하는 오행이면서 음양이 다른 것을 상관이라한다. 甲⇨午 乙⇨巳 丙⇨丑未 丁⇨辰戌 戊⇨酉 己⇨申 庚⇨子 辛⇨亥 壬⇨..

명리학이론 2017.01.20

천간의 십성

제5장 십성론(十星論) 1. 십성의 정의 일간(日刊)을 기준으로 다른 간지와의 관계를 음양오행에 따라 열가지로 분류한 것을 십성(十星)이라 한다. 다른 말로 십신(十神)이라고도 하고, 가족관계에 비유하여 육친(부모, 형제, 배우자, 자식)이라고도 한다. 십성은 음양으로 짝을 이루어 한 쌍으로 묶을 수 있으니 다섯가지가 되고 세분하면 열가지가 된다. 비겁(比劫) : 비견(比肩)과 겁재(劫財)식상(食傷) : 식신(食神)과 상관(傷官)재성(財星) : 정재(正財)와 편재(偏財)관성(官星) : 정관(正官)과 편관(偏官)인성(印星) : 정인(正印)과 편인(偏印) 2. 천간 십성(十星) 구성법⑴ 천간의 비견(比肩) 일간과 오행이 같으면서 음양이 같은 것을 비견이라 한다.甲⇨甲 乙⇨乙 丙⇨丙 丁⇨丁 戊⇨戊 己⇨己 庚⇨..

명리학이론 2017.01.20

지장간활용법

4) 지장간 활용법 운에서 찾아온 천간지지의 오행과 십성을 확인하여 일어날 사건을 예측한 후에 지장간의 오행과 십성을 이용하여 사건의 원인을 파악한다. 시일월년 년운○戊○○ 乙○○○○ 丑(癸辛己) 일간이 戊土인데 乙丑년을 맞이 했다. 乙은 정관이고, 丑은 겁재가 된다. 따라서 乙丑년은 정관과 겁재가 작동하는 운으로 사주와 만나 변화를 일으킨다. 만약 乙丑년이 나쁜 해라면 직장문제가 발생하고 친구로 인한 손해가 발생된다. 구체적인 사항은 지장간의 癸辛己를 확인한다. 辛金은 상관으로 구설수가 되고, 癸水는 돈이 된다. 따라서 친구에게 돈을 빌려 주는 것이 손해의 원인이 되거나, 혹 새로운 직장으로 옮기기 위해 돈을 아는 사람(브로커)에게 주었는데 말썽이 나서 결국 큰 손실이 되는 해로 예측할 수 있다. 또 ..

명리학이론 2017.01.17

지장간론

3. 지장간론(地藏干論) 1) 지장간의 구성법 십이지지는 천간의 기운이 땅으로 내려와 뭉쳐진 것이므로 각 지지마다 하나 이상의 천간이 융화되어 있다. 이렇게 지지(地支) 속에 융화되어 있는 천간을 지장간이라고 한다. 지장간은 체변용(體變用)으로 활용한다. 십이지지에 배속된 지장간은 다음과 같다. 십이지지子丑寅卯辰巳午未申酉戌亥초기壬癸戊甲乙戊丙丁戊庚辛戊중기 辛丙 癸庚己乙壬 丁甲정기癸己甲乙戊丙丁己庚辛戊壬 ◉ 각 지장간의 초기(初氣)는 앞 지지의 정기(正氣) 기운을 이어받은 오행이다.예)卯의 초기 지장간 甲은 앞 지지 寅의 정기 甲으로 부터 이어 받는다. 未의 초기 지장간 丁은 앞 지지 午의 정기 丁으로 부터 이어 받는다. ◉ 지장간 중기(中氣)는 삼합의 오행이다.亥卯未는 삼합되어 木이 되니 亥속에는 甲木이 未..

명리학이론 2017.01.17

십이지지의 성질

2) 십이지지(十二地支)의 성질 ⑴ 子水 : 1양(陽)5음(陰) 子字는 ‘낳다 불어나다’의 글자에서 온 것으로 만유의 태초 시원(始原)을 의미한다. 새로운 생을 위해 싹을 틔울 준비를 하는 단계이다. 1년 중 가장 어두운 시기로 햇빛이 제일 약하다. 차고 건조하며 햇빛이 약하니 마음도 우울하다. 이 시기에 1년 중 가장 밤이 길다는 동지(冬至)가 있다. 동지가 지나면 양기(陽氣)가 하나 싹트니 아이를 잉태한 것과 같다. 일양(一陽)이 되어 희망이 생긴다. 子는 땅속에 파묻혀 있는 씨앗의 종자라 할 수 있다. 모든 생명과 물질의 근원이므로 시초(始初)를 의미한다. 한랭(寒冷)하기 때문에 온난(溫暖)함을 원하고 그 형상이 어둡고 낮기 때문에 밝고 오르길 좋아한다. ⑵ 丑土 : 2양(陽)4음(陰) 丑字는 매다..

명리학이론 2017.01.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