명리학이론

지장간활용법

명광 2017. 1. 17. 14:32

4) 지장간 활용법

 

운에서 찾아온 천간지지의 오행과 십성을 확인하여 일어날 사건을 예측한 후에 지장간의 오행과 십성을 이용하여 사건의 원인을 파악한다.

 

년운

 

 

(癸辛己)

 

일간이 戊土인데 乙丑년을 맞이 했다. 은 정관이고, 은 겁재가 된다. 따라서 乙丑년은 정관과 겁재가 작동하는 운으로 사주와 만나 변화를 일으킨다.

만약 乙丑년이 나쁜 해라면 직장문제가 발생하고 친구로 인한 손해가 발생된다. 구체적인 사항은 지장간의 癸辛己를 확인한다.

 

辛金은 상관으로 구설수가 되고, 癸水는 돈이 된다. 따라서 친구에게 돈을 빌려 주는 것이 손해의 원인이 되거나, 혹 새로운 직장으로 옮기기 위해 돈을 아는 사람(브로커)에게 주었는데 말썽이 나서 결국 큰 손실이 되는 해로 예측할 수 있다.

 

또 결혼한 남자라면 이성문제가 생기게 되는 해도 된다. 중 지장간 癸水가 여자가 되므로, 친구와 술집에 갔는데 그 곳에서 새로운 여자를 만나게 된다.

 

이처럼 지장간의 변화를 잘 읽어내면 신묘한 운의 추론이 가능하게 된다.

 

 

 

 

 

 

 

 

 

 

위와 같이 일지의 지장간 乙木이 있는데 庚子운이 오면 乙木庚金과 합을 하므로 배우자가 외도를 하는 시기라 판단한다.

 

 

 

 

 

 

 

 

이런 운이 온다면 배우자의 신변이나 건강에 문제가 발생한다. 辛金이 지장간 乙木100% 극하기 때문이다.

 

 

5) 지장간의 천간 근() 작용

 

사주에서 천간오행의 힘의 강약을 확인할 때 지장간을 이용한다. 연월일시의 천간 중 지지에 자기오행이 있는 천간은 힘이 강한 반면 지지에 자기오행이 없는 천간은 무력하다. 하나의 근을 가지고 있는 것 보다 두개, 세개의 근()을 가지고 있는 천간의 힘이 더 강한 오행이 된다.

 

戊丙

 

己土 : 월지 辰土와 일지 寅木에 뿌리를 내리고 있다.

丙火 : 일지 寅木에 뿌리를 내리고 있다.

戊土 : 월지 辰土와 일지 寅木에 뿌리를 내리고 있다.

辛金 : 시지 酉金에 뿌리를 내리고 있다.

 

 

 

 

 

 

丙己丁

 

 

 

일간 戊土는 월지에 근을 두어 힘이 있지만, 월간 甲木은 월지에 근이 없어 제 역할을 못하고 있다. 이때 대운이나 년운에서 寅木이 오게 되면 그 기간 동안은 천간 甲木이 큰 힘을 발휘하게 된다.

 

 

 

庚辛

 

 

 

 

 

 

 

사주의 천간에 庚辛金이 없어 申金이 큰 역할을 하지 못하고 있다. 이때 대운이나 세운의 천간으로 庚辛金이 오게 되면 지지가 천간과 결합하여 이 시기 만큼은 유력(有力)하게 된다.

반응형

'명리학이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지지의 십성  (0) 2017.01.20
천간의 십성  (0) 2017.01.20
지장간론  (0) 2017.01.17
십이지지의 성질  (0) 2017.01.17
지지론  (0) 2017.01.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