명리학이론

지장간론

명광 2017. 1. 17. 14:32

3. 지장간론(地藏干論)

 

1) 지장간의 구성법

 

십이지지는 천간의 기운이 땅으로 내려와 뭉쳐진 것이므로 각 지지마다 하나 이상의 천간이 융화되어 있다. 이렇게 지지(地支) 속에 융화되어 있는 천간을 지장간이라고 한다. 지장간은 체변용(體變用)으로 활용한다.

 

십이지지에 배속된 지장간은 다음과 같다.

십이

지지

초기

중기

 

 

 

정기

 

◉  지장간의 초기(初氣)  지지의 정기(正氣) 기운을 이어받은 오행이다

 초기 지장간   지지  정기 으로 부터 이어 받는다

 초기 지장간   지지  정기 으로 부터 이어 받는다

 

◉ 지장간 중기(中氣) 삼합의 오행이다

亥卯未 삼합되어  되니 속에는 甲木 속에는 乙木 들어 있다

寅午戌 삼합되어  되니 속에는 丙火 속에는 丁火 들어 있다

巳酉丑 삼합되어  되니 속에는 庚金 속에는 辛金 들어 있다

申子辰 삼합되어  되니 속에는 壬水 속에는 癸水 들어 있다

 

◉ 지장간 정기(正氣) 천간의 자기 오행과 동일하다. 

子水 음수(陰水)이니 지장간의 정기는 천간 癸水 같다

寅木 양목(陽木)이니 지장간의 정기는 천간 甲木 같다

 

  

2) 지장간의 배속시기

 

십이지지의  지장간은 한달 30  일정기간 동안 배정되고  기간 동안 다른 지장간을 대신해서 힘을 발휘한다. 

 

子午卯酉의 지장간 배속시기

 

子午卯酉는 한달 30일중 초기는 10, 정기는 20일간 배속된다. , 午火의 지장간은 ,,으로 중기에 己土가 들어간다는 점에 유의한다.

 

초기

(101시간)

(10)

(103시간)

(103시간)

중기

 

(101시간)

 

 

정기

(20)

(10)

(20)

(20)

 

寅申巳亥의 지장간 배속시기

 

寅申巳亥는 한달 30일중 7일은 초기, 7일은 중기, 16일은 정기가 작동한다.

 

초기

(72시간)

(72시간)

(72시간)

(72시간)

중기

(72시간)

(72시간)

(73시간)

(71시간)

정기

(16)

(16)

(16)

(16)

 

辰戌丑未의 지장간 배속시기

 

辰戌丑未는 한달 30일중 9일은 초기, 3일은 중기, 18일은 정기가 작동한다.

 

초기

(93시간)

(93시간)

(93시간)

(93시간)

중기

(31시간)

(31시간)

(31시간)

(31시간)

정기

(18)

(18)

(18)

(18)

 

) ()지장간 분석

 

년월일시의 지장간 중 특히 월() 지장간의 변화를 가장 중요하게 사용한다. 월지는 계절의 힘으로서 사주에서 가장 큰 힘을 가지고 있으므로 사주를 파악하는 핵심자리가 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월지(月支) 월지장간으로 직업성격신강신약 분석운의 변화등을 파악할 수 있다

 

 

천간

지지

 

 

 

지장간

만약 위의 사주가 음력 월의 절기인 망종일로부터 1일후에 출생했다면월지 午火는 초기(初氣)기간 10일을 지나 중기에 있으므로 지장간은 가 된다. 위 사주의 지장간은 일간 甲木을 기준으로 己土 정재(正財) 해당한다겉은 상관(丁火)이지만 속은 정재(己土)의 기운이 되므로 정재의 역할에 중점을 둔다

 

천간

지지

 

 

 

지장간

음력 3 辰月 절기인 청명절로부터 2일후에 출생했다면월지 은 초기생으로 지장간이 戊土가 된다. 위 사주의 지장간은 일간 庚金을 기준으로 戊土 편인(偏印) 해당한다겉과 속이 같으므로 편인의 역활에 중점을 둔다

 

또 월지장간 분석은 용신을 잡을  이용한다 예를 들어 본다.(용신에 대한 설명은  14 용신론을 참고하라

 

癸辛乙丁  水金木火

巳卯巳巳  火木火火

 

사주에 일간 금을 도와주는 오행이 하나도 없으므로 강한 기운을 따라 ()하게 되는 사주이다이때 월의 지장간이 戊土라면  따라 ()하지 않고 정인 戊土 용신으로 정한다

 

반응형